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국민이 거주하는 생활환경에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임대차관계를 민법 특례법인 주택임대차보호법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키포인트는 위반한 약정 및 특약으로 임차인에게 불리한 내용을 효력이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법에 저촉 및 위반해서는 안됩니다. 그러면 이런 법을 바탕으로 전세계약 연장 묵시적 갱신 개념과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집주인과 세입자는 보통 2년 단위의 임대차 계약을 맺습니다. 임차인은 잔금 이후 주택을 인도받아 거주 및 사용할 권리를 가집니다. 그래서 2년 동안 안정적으로 살게 되고 만료되는 시점인 6개월에서 2개월 전까지 서로의 의사를 통보해야 합니다. 만약 해당 기간 동안 서로 통지가 없었다면 기존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전세계약이 연장되고 묵시적 갱신이 적용되며 존속기간은 2년입니다.다만, 2기에 이르는 집세를 연체하는 경우에는 임차인의 의무를 현저히 위반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전세계약 연장 묵시적 갱신이 진행됐다면 별도 서류를 작성하거나 부동산에 복지를 지급하지 않아도 돼 대항력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럼 첫 임대차 2년 후 묵시적 갱신이 한 번 이뤄졌다면 다음에는 어떻게 될까요? 2년 + 2년 약정 만료 기간 전 6~2개월 전까지 별도의 통지가 없으면 다시 진행하게 됩니다. 이때 중요한 점은 신고할 지점이 정해져 있다는 것입니다. 한 달 전에 해지하려고 해도 법적 효력이 없다는 점, 임대인과 임차인이 모두 알아야 할 부분입니다.이때 중요한 점은 임대인은 2년이라는 기간을 무조건 보호해야 하는데 임차인의 경우에는 전세계약 연장 묵시적 갱신이 진행된 후 이사를 원할 경우 언제든지 통지할 수 있고 집주인에게 통보 후 3개월 후에는 계약 해지에 따라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그래서 대부분의 집주인들은 같은 조건으로 연장된다고 해도 계약서를 다시 써서 일정을 특정하려고 합니다. 특정된 기간은 서로 권리를 주장할 수 있기 때문이고 1, 2분이 아닌 보증금으로 종료 기간에 대한 마음의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요즘처럼 역전세난이 발생했을 때는 효력이 없지만 상승기에는 2년 더 거주할 수 있는 갱신청구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상한이 5%까지 증액될 수 있으며 기간을 연장하여 최대 4년까지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세계약 연장 묵시적 갱신과는 다른 부분이기 때문에 각각의 제도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조반니_cg,giovanni 픽사베이지금까지 전세계약 연장 묵시적 갱신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별도의 서류 작성이 필요 없고 임차인은 언제든지 해지를 주장할 수 있어 다양한 이점을 가집니다. 하지만 언제든지 돈을 받고 나가려면 집주인의 자금 여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돈을 돌려받지 못하고 이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때는 임차권 등기명령을 신청해야 합니다.그러니 서로 협의와 이해를 통해 진행해주세요.